본문 바로가기
지니's Recipe

세발나물전 만드는 법

by JiiNi 2023. 3. 2.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안녕하세요 지니입니다 :)

오늘은 세발나물전을 만드는 법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.

 

세발나물은 이번에 처음 구매해 본 나물이었어요

알게 모르게 엄마나 할머니가 해주신 음식으로 맛을 봤었을 수도 있지만

제가 구매한 건 처음이 확실합니다.^____________^

 

마트에서 장보면서 봄나물을 좀 사고 싶은데

씀바귀는 너무 쓰고 달래는 손이 많이 가고 두릅은 아직 제철이라고 하긴 좀 이르고 해서

향이 강하지 않을 것 같은 나물중에서 세발나물을 골라봤어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

(향긋함은 느끼고 싶지만 너무 강한건 조금 더 친해져야 한답니다....)

 

첫 구매였지만 맛있게 먹어서 포스팅해보려고 해요 !

그럼 바로 포스팅 시작할게요 ~!!

 

반응형

 

■ 세발나물전 재료


✔️ 재료 : 세발나물, 부침가루, 양파, 냉동새우, 고추, 기름

 

■ 세발나물전 만드는 법


 

 

세발나물전 만들기

 

 

 

저는 마트에서 사온 세발나물 한 팩을 모두 다 사용했습니다 !

 

 

 

세발나물전 만들기

 

 

 

먼저 세발나물을 흐르는 물에 잘 세척해줍니다.

잎이 누런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만 똑! 제거해주세요.

 

 

세발나물전 만들기세발나물전 만들기

 

 

세발나물전에 넣을 양파는 채를 썰어주시고

냉동새우는 흐르는 물에 세척 후 꼬리와 껍질을 제거한 뒤

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볼에 담아놔주세요. (저는 그래도 제법 큰 사이즈로 잘랐답니다.)

 

새우를 통으로 넣어도 좋지만,

새우가 너무 크면 전이 찢어질 수 있으니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부쳤습니다.

 

 

 

 

흐르는 물에 세척한 세발나물은 먹기 좋은 크기로 썰어주세요.

 

 

세발나물전 만들기세발나물전 만들기

 

 

재료를 담아둔 볼에 부침가루와 물을 넣고 반죽을 만들어주세요

부침가루에는 간이 되어 있어 특별이 더 넣어주실 건 없습니다.

 

세발나물전은 다른 부침개보다는 조금 묽은 반죽이 더 잘 어울리는 것 같습니다.

너무 되직하지 않도록 만들어주세요.

 

 

세발나물전 만들기

 

 

기름을 두른 팬에 반죽을 올리고 홍고추까지 올려서 잘 부쳐주세요.

(홍고추는 생략하셔도 됩니다.)

 

저는 작게도 만들어보고 크게도 만들어 봤는데

작은 건 예쁘게 먹을 수 있고, 큰 건 만들기가 편합니다 ^^ (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.................)

 

 

세발나물전 만들기

 

 

손님상에 올리시거나

오늘은 좀 예쁘게 차려두고 먹고 싶다! 하실 떄는 이렇게

작은 크기로 부쳐서 드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:)

 

특별히 자극적인 음식이 아니라서 아이들 간식으로 만들어주기도 좋을 것 같아요!!

(엄마가 되고 나니 이런 그냥 전 하나만 가지고도 이건 아이랑 먹어도 좋겠다 하는 생각이 드네요 그렇지만 저희 집 아기는 빵살이라서 아직 전은 못 먹어요 나중에 맛있게 해줄게 엄마가 *_*)

 

 

세발나물전 만들기

 

 

저는 앞뒤로 노릇노릇 크게 구워서 먹는 것도 맛있었어요

역시 전은 찢어서 먹어야 제 맛,,,, 아니겠어요 ?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

 

집에 보리새우가 딱 떨어져서 냉동새우로 부쳐 먹었는데,

보리새우로 부쳐먹어도 맛있을 것 같아서 다음엔 보리새우 이용해서 전을 부쳐보려고 합니다 !

(만들어보고 맛있으면 또 포스팅 가져올게요 ^____________^)

 

 

봄나물로 뭐 맛있는거 만들어 먹을까 하시는 분들은

곧 돌아오는 주말에 3월 제철음식 세발나물로 전 만들어서 드셔보시는 걸 추천드릴게요 !

 

이번 포스팅은 이쯤에서 마치고, 곧 또 다른 포스팅으로 찾아 뵐게요 :)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'지니's Recip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묵사발 만드는 법  (0) 2023.03.04
참나물무침 만드는 법  (1) 2023.03.03
돼지고기 메추리알 장조림 만드는 법  (0) 2023.03.02
유부초밥 만드는 법  (7) 2023.02.26
냉이된장국 끓이는 법  (0) 2023.02.20